
치솟는 금리와 물가에 많이 힘드시죠? 소득이 적을수록 더 많이 지원하는 정책이 있습니다. 기준소득 대비 부족한 가계 소득보장제도가 있습니다. 바로 서울시 안심 소득입니다. 오세훈 서울시장의 핵심 복지 정책으로 1인가구 매달 최대 88만 원이 통장에 들어옵니다. 1. 서울시 안심소득 자격 2023년 1월 9일 기준으로 주민등록상 서울에 거주하여야 합니다. 소득과 재산이 3억 2천만 원 이하면 누구가 신청 가능합니다. (일반재산, 금융재산, 자동차 재산 합산액에서 부채를 차감한 순자산을 의미합니다) 2023년은 2단계 시범사업으로 1100 가구를 모집하고 있습니다. 최종 선정된 가구는 매월 2년간 지원을 받게 됩니다. 올해는 중위소득 85%까지 지원대상이 됩니다. 소득기준의 절반을 받게 됩니다. ▶기준 중위..

소득에 상관없이 연 4%, 최대 5억 특례보금자리론이 1월 30일 출시됩니다. 모든 우대 금리를 이용하면 최저 연 3.25%로 짧게는 10년부터 50년까지 고정금리로 이용가능합니다. 중도 상환 수수료도 면제됩니다. 신규 구매는 물론 대출을 갈아탈 수 있습니다. 1. 특례보금자리론 신청 특례보금자리론은 안심전환대출+ 보금자리론+ 적격대출 등 정책 모기지 통합 상품입니다. 2023년 딱 1년 간만 한시적으로 운영됩니다. 소득 요건을 없앤 것은 과히 파격적입니다. 총 부재원리금 상환비율(DSR) 규제가 적용되지 않습니다. 대출 한도를 늘리는데 유리합니다. 특례보금자리론 신청은 스마크주택금융 앱과 한국주택금융공사 홈페이지에서 신청받습니다. ▶특례보금자리론 신청 바로가기 ★ (1년간 한시운영) 특례 보금자리론 |..

월세를 매월 20만 원 지원합니다. 1년 12개월 최대 240만 원을 지원합니다. 월 소득 291만 원도 받을 수 있습니다. 생애 1회 지원을 합니다. 1년 한시지원하는 국토부 지원이 아닌 대전 청년월세지원사업입니다. 1. 청년월세 지원 신청요건 (지원대상) 대전시에 주소를 둔 만 19~39세 무주택 청년(부부)이 지원할 수 있습니다. (소득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1인 기준 /월 소득 291만 7218원, 지역 건강보험료 7만 7067원) (주택기준) 임차 보증금 1억 이하, 월세 60만 원 이하의 월세 거주하는 무주택자( 기숙사, 고시원 포함) 2. 청년 월세 지원 신청 (접수기간) 매달 1일~5일까지 지원할 수 있습니다. (지급시기) 매월 25일 내외 지급을 기준으로 합니다. (신청접수) 대..

2023년 근로 장려금 최대 지급액 10% 인상됩니다. 가구당 근로 장려금 지급액 최대 30만 원 인상됩니다. 맞벌이 가구 기준 최대 330만 원을 지급받습니다. 자녀장려금은 자녀 1명당 10만 원이 인상되어 80만 원을 받습니다. 근로 자녀 장려금 재산요건도 완화되어 2억 4천만 원 이하면 신청할 수 있습니다. 1. 근로 자녀 장려금 지급액 및 주의사항 단독가구는 2022년 소득이 2400만 원 미만이면 최대 165만 원을 받습니다. 홑벌이 가구는 2022년 소득이 3800만원 미만이면 최대 312만 원을 받습니다. 맞벌이 가구는 2022년 소득이 4500만원 미만이면 최대 330만 원을 받습니다. ▶주의사항 기한 후 신청을 하면 10%가 감액이 됩니다. 국세를 미납한 경우 30%가 감액됩니다. 재산요..